경직적 물가지수
소비자물가지수를 구성하는 품목 중에 가격이 경직적으로 움직이는 품목과 신축적으로 움직이는 품목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그중 경직적으로 움직이는 품목들을 대상으로 만든 물가지수를 경직적 물가지수, 신축적으로 움직이는 품목을 대상으로 한 물가지수를 신축적 물가지수라 한다.
예를 들어 정부의 직・간접적인 영향을 크게 받는 공공서비스, 전기・수도, 담배, 보육・급식 가격이나 개인서비스 요금 등은 대체로 경직적 물가를 구성하는 주요 품목이다.
이러한 경직적 물가는 통화정책 관점에서 소비자물가 예측에 매우 유용한 물가지표이다.
특히 경직적 물가와 신축적 물가의 움직임에 내재된 정보가 서로 달라 향후 인플레이션 향방을 정도 있게 예측하기 위해서는 경직적 물가의 움직임을 분석하고 해석하는데 유의할 필요가 있다.
연관검색어 : 근원인플레이션율
[참고사항]
물가가 단기에는 경직적인 이유는?
물가가 단기에 경직적인 이유에는 여러 가지 원인이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대표적으로는 메뉴비용(menu cost) 때문이라고 설명을 합니다. 메뉴비용은 쉽게 말하면 메뉴판을 바꾸는 데에 들어가는 비용을 말하는 것입니다.
물가는 통계청에서 산출을 해내는데 보통 한달에 한 번씩 월별로 산출이 됩니다. 기업이 물가에 따라 메뉴의 가격을 매번 바꾼다고 하면, 한달에 한 번씩 제품의 가격을 바꾸어야 합니다. 이에 따라 오르기도 하고 내려가기도 할 것입니다. 그리고 그 가격은 항상 100원이나 1,000원 단위로 끊기지는 않을 것입니다. 그리고 이렇게 항상 물가에 관심을 가지면서 정보를 알아내는 데에도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죠.
따라서 기업 입장에서는 오히려 합리적인 것이, 일정기간 동안에는 메뉴가격을 변화시키지 않는 것이 더욱 나을 것입니다. 메뉴가격이 매번 시시각각 변한다면 기업 입장에서도 마찬가지이고, 손님 입장에서도 메뉴가격이 매번 바뀌어서 불안정하고 믿음직스럽지가 않을 것입니다. 서로에게 불편하죠.
그래서 현실에서 보면 메뉴가격은 한 번 정해지면 빠르게 바뀌지 않고 일정기간 동안은 계속해서 유지되는 경향이 있죠. 따라서 단기에는 이러한 경향이 물가를 경직적이게 만드는 것입니다. 허나 장기가 되면 실제 경기가 많이 변화하게 됨에 따라 기업의 제품 가격 역시 변화가 생겨나게 되므로 물가는 신축적으로 변하게 되는 것입니다.
- 출처 : 네이버 지식인 -
'경제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금융 용어 알기 42. 계좌대체 (0) | 2022.10.26 |
---|---|
경제금융 용어 알기 41. 계절변동조정시계열 (0) | 2022.10.25 |
경제금융 용어 알기 39. 경제후생지표 (0) | 2022.10.23 |
경제금융 용어 알기 38. 경제활동인구 / 비경제활동인구 / 경제활동참가율 (0) | 2022.10.22 |
경제금융 용어 알기 37.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0) | 2022.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