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변동환율제도
환율이 장기적으로 외환시장의 수급상황에 따라 결정되도록 하지만, 단기적으로 정부와 중앙은행이 적정하다고 판단하는 수준에서 환율을 안정시키기 위해 수시로 외환시장에 개입하여 환율수준을 관리하는 환율제도이다.
고정환율제도와 자유변동환율제도의 장점을 살린 중간 형태라 할 수 있다.
환율을 완전히 시장 자율에 맡기게 되면 환투기 차익 등을 노린 단기자본의 급격한 유출입으로 인해 환율과 외환시장이 불안정해질 수 있는바, 이러한 위험을 감소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1970년대 브레튼우즈체제가 무너진 이후의 국제통화제도는 환율변동 허용 정도에 따라 여러 가지가 혼재되어 있는데
대체로 주요 선진국들은 자유변동환율제도를 채택하고 개도국들은 관리변동환율제도(managed floating exchange rate system)를 채택하는 경향이 있다.
연관검색어 : 고정환율제도/자유변동환율제도, 외환시장
'경제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금융 용어 알기 62. 교환사채(EB: Exchangeable Bond) (0) | 2023.03.30 |
---|---|
경제금융 용어 알기 61. 관리통화제도 (0) | 2023.03.29 |
경제금융 용어 알기 59. 공매도 (0) | 2022.11.13 |
경제금융 용어 알기 58. 공급탄력성 (0) | 2022.11.12 |
경제금융 용어 알기 57. 공급사용표(SUT) (0) | 2022.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