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 생활을 하면서 돈을 잘 모으고 싶다면, 경제와 금융 개념을 제대로 이해하는 게 중요합니다. 돈을 모은다는 건 단순히 월급을 아껴 쓰는 게 아니라, 현명하게 관리하고 불리는 과정까지 포함되죠. 오늘은 돈 모으는 직장인이라면 꼭 알아야 할 경제 용어 20가지를 쉽게 풀어서 설명해 보겠습니다.
1. 저축과 예금, 기본부터 탄탄하게
1) 정기예금 (Fixed Deposit)
은행에 일정 금액을 맡기고, 정해진 기간 동안 이자를 받는 방식입니다. 원금 보장이 되기 때문에 안전한 저축 방법이지만, 중간에 해지하면 이자가 줄어들 수 있으니 기간 설정을 잘해야 합니다.
2) 적금 (Savings Plan)
매달 일정 금액을 저축하고, 만기가 되면 원금과 이자를 받는 방식입니다. 목돈 마련이 필요할 때 많이 활용되며, 자유적금과 정기적금으로 나뉩니다.
3) 복리 (Compound Interest)
복리는 ‘이자가 이자를 낳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100만 원을 연 5% 복리로 예금하면 첫해 이자가 5만 원, 둘째 해엔 105만 원에 대해 다시 5% 이자가 붙습니다. 장기적으로 돈을 불리는 데 유리한 방식이죠.
4) 비상자금 (Emergency Fund)
급작스럽게 돈이 필요할 상황을 대비해 마련해 두는 돈입니다. 최소 3~6개월치 생활비 정도를 따로 저축해 두면, 갑자기 실직하거나 예상치 못한 지출이 발생했을 때 큰 도움이 됩니다.
2. 투자 기본 개념, 어렵지 않아요
5) 주식 (Stock)
기업의 주인이 되는 방식입니다. 주식을 사면 해당 기업의 일부를 소유하는 것이고, 주가가 오르면 차익을 얻거나 배당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6) ETF (Exchange Traded Fund, 상장지수펀드)
여러 개의 주식을 하나로 묶어 만든 투자 상품입니다. 특정 지수(예: 코스피200)를 따라가도록 설계되어 있어 개별 종목보다 안정적인 투자가 가능합니다.
7) PER (Price to Earnings Ratio, 주가수익비율)
PER이 낮으면 해당 주식이 저평가되었을 가능성이 높고, 반대로 높다면 고평가되었을 수도 있습니다. 투자할 때 기업 가치를 평가하는 데 많이 쓰이는 지표입니다.
8) 배당 (Dividend)
회사가 벌어들인 이익의 일부를 주주들에게 돌려주는 것입니다. 배당금을 꾸준히 주는 회사에 투자하면 안정적인 현금 흐름을 만들 수 있습니다.
3. 대출과 부동산, 신중해야 할 부분
9) LTV (Loan To Value, 주택담보대출비율)
집값 대비 대출 가능한 비율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LTV 70%라면 1억짜리 집을 살 때 최대 7천만 원까지 대출받을 수 있다는 뜻입니다.
10) DTI (Debt To Income, 총부채상환비율)
내 소득 대비 대출 상환액이 차지하는 비율입니다. 대출을 받을 때, 내 소득 대비 얼마나 부담이 되는지를 따지는 중요한 지표죠.
11) 변동금리 vs 고정금리 (Variable vs Fixed Interest Rate)
변동금리는 시장 금리에 따라 바뀌고, 고정금리는 계약 기간 동안 동일한 금리가 적용됩니다. 금리가 오를 것 같으면 고정금리가, 내려갈 것 같으면 변동금리가 유리할 수 있습니다.
4. 세금과 연금, 알면 돌려받는다
12) 소득세 (Income Tax)
연봉에서 일정 비율로 떼어가는 세금입니다. 연봉이 높을수록 세율이 올라가는 누진세 구조입니다.
13) 연말정산 (Year-End Tax Settlement)
1년 동안 납부한 세금을 다시 계산하여, 더 낸 경우 돌려받고 덜 낸 경우 추가로 납부하는 과정입니다. 공제 항목을 잘 챙기면 세금 환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14) 연금저축 (Retirement Savings Plan)
세액공제 혜택이 있는 개인 연금 상품입니다. 미리 준비하면 노후에 안정적인 생활이 가능하고, 세금 혜택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15) 퇴직연금 (Retirement Pension)
회사가 근로자의 퇴직금을 일정 금액씩 적립해 운용하는 연금입니다. DB형과 DC형으로 나뉘며, 연금 형태로 받을 수도 있습니다.
5. 경제 뉴스 이해하는 법
16) 소비자물가지수 (CPI, Consumer Price Index)
우리가 생활하면서 구매하는 상품과 서비스 가격이 얼마나 올랐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물가 상승률을 판단하는 중요한 기준이죠.
17) 인플레이션 vs 디플레이션 (Inflation vs Deflation)
인플레이션은 물가가 오르는 현상이고, 디플레이션은 물가가 떨어지는 현상입니다. 적절한 인플레이션은 경제 성장에 도움이 되지만, 지나치면 생활비 부담이 커집니다.
18) 환율 (Exchange Rate)
다른 나라의 돈과 우리나라 돈을 바꾸는 비율입니다. 환율이 오르면 해외여행이 비싸지고, 환율이 내리면 해외 직구가 유리해집니다.
19) 가처분소득 (Disposable Income)
세금과 필수 지출(월세, 공과금 등)을 제외하고 자유롭게 쓸 수 있는 돈을 의미합니다. 소비와 저축 계획을 세울 때 참고해야 하는 개념이죠.
20) FIRE (Financial Independence, Retire Early)
젊을 때 아끼고 투자해서 빠르게 경제적 독립을 이루고, 조기 은퇴를 목표로 하는 재테크 전략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절약과 공격적인 투자가 필요합니다.
결론
돈을 모으려면 단순히 절약하는 것만으로는 한계가 있습니다. 금융 지식을 갖추고, 자신의 재정 상황을 잘 파악한 뒤, 적절한 저축과 투자를 병행해야 합니다. 오늘 정리한 20가지 개념을 이해하면 보다 체계적으로 자산을 관리할 수 있을 것입니다. 작은 습관부터 차근차근 실천해 보세요!
'경제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사 재무제표 읽는 법, 기본 경제 개념부터 차근차근 (0) | 2025.03.20 |
---|---|
경제 뉴스 쉽게 읽는 법, 신입사원을 위한 필수 용어 (0) | 2025.03.19 |
연봉 협상 전에 꼭 알아야 할 경제·세금 용어 (0) | 2025.03.18 |
월급 관리 초보를 위한 경제 개념 정리 – 투자 시작과 추가 수익 창출까지 (0) | 2025.03.17 |
첫 투자 전 알아야 할 경제 용어, 신입사원을 위한 체크리스트 (0) | 2025.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