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순저축률
일반적으로 저축률은 저축액을 처분가능소득으로 나눈 비율을 말한다.
마찬가지로 가계순저축률은 가계부문의 순저축액을 가계순처분가능소득과 정부로부터 받은 사회적 현물이전 금액, 연금기금의 가계순지분 증감조정액을 합계한 금액으로 나눈 비율이다.
여기서 사회적 현물이전(social transfer in kind)이란 정부 등이 가계에 현물이전의 형태로 제공하는 재화 및 서비스로서 무상교육, 보건소의 무상진료 등이 해당된다.
또한 연금기금의 가계순지분 증감조정액을 분모에 더하는 이유는 퇴직연금 등과 같이 가계가 납부한 연금부담금과 연금수취액의 차액을 반영해야 가계부문의 저축액을 정확히 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가계순저축률은 가계부문의 저축성향을 가장 잘 나타내주는 지표라고 할 수 있다.
가계순저축률(%) = {가계부문순저축/(가계순처분가능소득 + 사회적현물이전수취 + 연금기금의가계순지분증감조정)}× 100
가계순저축률을 보면, 가계 부문의 저축 성향을 알 수 있는데, 비율이 높으면 국내 가계에서 저축을 많이 하는 것이고, 비율이 낮으면 국내 가계에서 저축을 적게 한다는 뜻이다.
이러한 가계순저축률이 증가하면 경제에는 그리 좋지 못한 신호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 이유는 가계의 소비가 늘어나야 기업들이 돈을 벌고, 이를 통해 투자를 하여 다시 생산을 확대하는 식으로 자본이 굴러가기 때문.
가계순저축률이 증가한다는 것은 가계에서 저축량을 늘리고 소비는 줄인다는 뜻이므로, 투자에 항상 참고해야 하는 거시 지표라 할 수 있다.
'경제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금융 용어 알기 6. 가교은행 (0) | 2022.09.17 |
---|---|
경제금융 용어 알기 5. 가계처분가능소득(PDI) (0) | 2022.09.16 |
경제금융 용어 알기 4. 가계신용통계와 가계처분가능소득 통계 (0) | 2022.09.15 |
경제 금융 용어 알기 2. 가계수지 (0) | 2022.09.13 |
경제 금융 용어 알기 1. - 가계부실위험지수(HDRI) (0) | 2022.09.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