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수지
가정에서 일정 기간의 수입(명목소득)과 지출을 비교해서 남았는지 모자랐는지를 표시한 것을 가계수지(household's total income and expenditure)라 한다.
가계수지가 흑자를 냈다면 그 가정은 벌어들인 수입 일부만을 사용했다는 것을 의미하며, 적자를 냈다면 수입 외에 빚을 추가로 얻어 사용한 것이라고 보아야 한다.
우리나라는 통계청에서 가계의 수입과 지출을 조사하여 국민의 소득수준 및 생활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표본으로 선정된 가계에 가계부를 나누어 주고 한 달간의 소득과 지출을 기록하도록 한 다음 이를 토대로 가계수지 통계를 작성하여 발표하고 있다.
가계부의 소득항목에는 근로소득・사업소득・재산소득・이전소득 항목이 있고, 비용항목에는 식료품비・주거비・
수도광열비・보건의료비・교육비 항목이 있다.
<서울시 가계수지>
안타깝게도 가계수지 자료는 2009년부터는 대표성 결여로 조사대상에서 제외되었다고 한다.
이진석 통계청 가계수지 동향과장은 “소상공인에게 지급된 손실 보전금 영향으로 소득 상위 분위에서 자영업자 가구를 포함한 근로자 외 가구의 비중이 증가했다”고 말했다.
지출 늘었지만 물가 고려하면 현상 유지 수준이고, 소비 성향은 감소.
'경제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금융 용어 알기 6. 가교은행 (0) | 2022.09.17 |
---|---|
경제금융 용어 알기 5. 가계처분가능소득(PDI) (0) | 2022.09.16 |
경제금융 용어 알기 4. 가계신용통계와 가계처분가능소득 통계 (0) | 2022.09.15 |
경제금융 용어 알기 3. 가계순저축률 (0) | 2022.09.14 |
경제 금융 용어 알기 1. - 가계부실위험지수(HDRI) (0) | 2022.09.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