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종합지수
산업생산지수, 소매판매액지수 등 개별 경제지표들은 경제활동의 한 측면만을 반영하고 있어 나라 경제의 전반적인 상황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어렵다.
이에 따라 개별 경제지표들을 가공・합성하여 경기종합지수(CI; Composite Index)를 작성하여 활용하고 있다.
경기종합지수는 각 부문별로 경기를 잘 나타내는 경제지표들을 선정한 다음 계절 및 불규칙 요인의 제거, 진폭의 표준화 등의 가공 과정을 거친 후 합산하여 하나의 지수로 만든 것이다.
경기종합지수는 지수의 변동 방향으로 경기변동의 방향을 가늠할 수 있고, 지수의 변동 폭으로 경기변동의 크기를 알 수 있기 때문에 경기흐름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한편, 경기종합지수는 경기에 대한 선・후행 관계에 따라 선행종합지수, 동행종합지수, 후행종합지수로 구분한다.
선행종합지수는 비교적 가까운 장래의 경기 동향을 예측하는 데 활용되며,
동행종합지수는 현재의 경기상태를 판단하는데 이용되고,
후행종합지수는 경기변동을 사후에 확인하는 데 활용된다.
연관검색어 : 경기동향지수(경기확산지수)
'경제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금융 용어 알기 32. 경영실태평가 / 은행경영실태등급평가제도 (1) | 2022.10.13 |
---|---|
경제금융 용어 알기 31. 경상수지 (0) | 2022.10.12 |
경제금융 용어 알기 29. 경기조절정책 / 경제안정화정책 (0) | 2022.10.10 |
경제금융 용어 알기 28. 경기순응성 (0) | 2022.10.09 |
경제금융 용어 알기 27. 경기동향지수(경기확산지수) (0) | 2022.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