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19 첫 월급부터 알아야 할 금융 용어 정리 첫 월급을 받은 신입사원이라면 금융 용어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필요합니다. 예금, 적금, 금리, 신용점수 등 자주 접하는 개념을 알면 더 나은 재테크와 소비 계획을 세울 수 있습니다. 많은 사회 초년생이 급여를 받으면 어떻게 관리해야 할지 고민하지만, 기초적인 금융 지식을 갖추면 돈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첫 월급을 받는 사회 초년생이 꼭 알아야 할 금융 용어를 쉽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1. 예금과 적금의 차이, 어떻게 다를까?예금과 적금은 은행에서 제공하는 대표적인 금융상품으로, 자산을 안전하게 보관하고 이자를 받을 수 있는 방법입니다. 하지만 이 두 가지는 목적과 방식이 다릅니다.예금은 일정 금액을 한 번에 맡기고 약정한 기간이 지나면 원금과 이자를 돌려받는 방식입니다. 보통 정기예.. 2025. 3. 11. 경제금융 용어 알기 62. 교환사채(EB: Exchangeable Bond) 교환사채(EB) 교환사채(EB; Exchangeable Bond)란 사채권자의 의사에 따라 사채를 교환사채 발행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타사 주식 등 여타의 유가증권과 교환할 수 있는 선택권이 부여된 사채를 말한다. 발행하는 채권에 주식이 연계되어 있다는 점에서 발행회사의 신주를 일정한 조건으로 매수할 수 있는 신주인수권부사채(BW; Bonds with Warrant)나, 발행회사의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된 전환사채(CB; Convertible Bond) 등과 함께 주식연계증권으로 불린다. 발행회사가 보유하는 교환대상 유가증권은 상장유가증권으로 제한되고 있으며 증권예탁원에 의무적으로 예탁되어야 한다. 투자자는 미래의 주식가격 상승에 따른 시세차익을 기대할 수 있고 발행회사는 낮은 이자율로 사채.. 2023. 3. 30. 경제금융 용어 알기 61. 관리통화제도 관리통화제도 관리통화제도는 1930년대의 대공황을 계기로 많은 나라들이 금본위제도를 포기하면서 도입된 통화제도로 일국의 통화량 증감을 중앙은행 등 정책당국이 재량으로 조절하는 제도를 말한다. 다시 말해 화폐발행량이 정책당국에 의해 관리된다는 의미이다. 즉, 중앙은행이 통화량을 조절하여 경제 안정을 유지하고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을 방지하는 통화정책이다. 이는 중앙은행이 기준금리 조정, 공개시장 거래, 은행 예금 제한, 외환시장 개입 등의 방법으로 수행된다. 관리통화제도는 대부분의 선진국에서 채택되어 있으며, 미국의 연방준비제도(Fed)와 유럽중앙은행(ECB)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금본위제도는 금의 자유로운 국제이동을 통해 환율안정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으나 경기변동의 국제적인 파급을 피하기 어렵고, 또한.. 2023. 3. 29. 경제금융 용어 알기 60. 관리변동환율제도 관리변동환율제도 환율이 장기적으로 외환시장의 수급상황에 따라 결정되도록 하지만, 단기적으로 정부와 중앙은행이 적정하다고 판단하는 수준에서 환율을 안정시키기 위해 수시로 외환시장에 개입하여 환율수준을 관리하는 환율제도이다. 고정환율제도와 자유변동환율제도의 장점을 살린 중간 형태라 할 수 있다. 환율을 완전히 시장 자율에 맡기게 되면 환투기 차익 등을 노린 단기자본의 급격한 유출입으로 인해 환율과 외환시장이 불안정해질 수 있는바, 이러한 위험을 감소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1970년대 브레튼우즈체제가 무너진 이후의 국제통화제도는 환율변동 허용 정도에 따라 여러 가지가 혼재되어 있는데 대체로 주요 선진국들은 자유변동환율제도를 채택하고 개도국들은 관리변동환율제도(managed floating exchange .. 2022. 11. 14. 이전 1 ··· 12 13 14 15 16 17 18 ··· 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