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금융

경제금융 용어 알기 12. 간접금융/직접금융

by having rich 2022. 9. 23.

간접금융/직접금융

 

 

금융시장에서 자금공급자로부터 자금수요자에게로 자금이 흘러가게 하는 방법에는 크게 직접 금융과 간접 금융이 있다.

 

직접 금융은 자금수요자가 자금공급자로부터 직접적으로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으로 기업이 주식이나 사채(社債)를 신규 발행한 뒤, 증권시장을 통하여 개인이나 기관투자자에게 판매함으로써 자금을 조달하는 금융방식이다. 정부가 국채를 발행하고 그것을 가계가 구입하는 것도 직접 금융에 포함된다.

반면 간접 금융은 자금공급자와 자금수요자 사이에 금융기관이 개입되어 자금의 흐름을 매개하는 방법이다.

즉 금융기관이 일반 대중으로부터 예금을 받아 이를 자신의 명의로 기업 등 다른 경제주체에게 대출해 주는 방식이다. 

 

가계가 일단 은행에 예금하면 은행은 모아진 자금을 기업에 대출해 주기도 하고 회사채나 국채를 구입한다. 이와 같이 기업은 증권시장(주식시장이나 채권시장)을 통해 자금공급자의 자금을 직접 조달하기도 하고 금융기관으로부터 자금을 대출받기도 한다.

 

간접금융에서는 은행이 중추적인 기능을 하고, 직접금융에서는 주식과 채권이 거래되는 자본시장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직접금융과 간접금융은 상호 경쟁적일 뿐만 아니라 보완적이기도 하므로 두 금융방식이 균형적으로 발전될 필요가 있다.

 

직접금융과 간접금융의 상대적 비중이 어느 정도이어야 이상적인지는 해당 국가의 경제발전단계나 경제구조에 따라
달라질 수밖에 없다. 

 

예를 들면 중소기업의 비중이 높은 국가일수록 정보의 비대칭성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간접금융이 더 중요하고, 혁신산업에 의해 주도되는 경제일수록 동 산업 지원에 유리한 직접금융의 역할이 더 중요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융시장이 발달함에 따라 직접금융 비중이 높아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