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응도계수
최종수요 한 단위에 어떤 산업이 받는 영향계수.
모든 산업부문의 생산물에 대한 최종수요가 한 단위씩 발생할 때 어떤 산업이 받는 영향을 계수로 나타낸 것을 말한다.
생산유발계수표를 이용하여 각 산업간의 상호의존관계의 정도를 알아보는 기준으로, 영향력계수(影響力係數, impact factor)에 상대되는 개념이다.
각 산업의 생산유발계수의 행(行)합계를 전 산업평균으로 나누어 구하는데, 전방연쇄효과가 어느 정도인가를 전 산업평균에 대한 상대적 크기로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석유제품과 같이 각 산업부문에 중간재로 널리 사용되는 산업일수록 수치가 크다.
이에 비해 영향력계수는 어떤 산업부문의 생산물에 대한 최종수요가 한 단위 발생할 때 전 산업부문에 미치는 영향을 계수로 나타낸 계수를 말한다.
후방연쇄효과의 정도를 전 산업평균에 대한 상대적 크기로 나타낸 계수로, 각 산업 생산유발계수의 열합계를 전 산업평균으로 나누어 구한다. 일반적으로 생산유발 효과가 큰 산업부문일수록 영향력계수가 커진다.
- 관련 기사
은행이 생산적 대출 줄였다는 금감원 보고서, 분석방식 논란 - 머니투데이
금융감독원이 지난 15일 발표한 ‘은행의 생산적 자금공급 현황’ 보고서에 대해 ‘생산적 대출’만 강조하다 금융시장 안정성이 훼손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
news.mt.co.kr
2018년도 기사이긴 하나, 감응도계수와 생산유발계수가 나오는 기사이면서 흥미로운 부분이 있어서 함께 첨부합니다.
'경제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금융 용어 알기 17. 거시건전성 정책 (0) | 2022.09.28 |
---|---|
경제금융 용어 알기 16. 갑기금(Capital A) (0) | 2022.09.28 |
경제금융 용어 알기 14. 감독자협의회 (0) | 2022.09.25 |
경제금융 용어 알기 13. 간접세/직접세 (1) | 2022.09.24 |
경제금융 용어 알기 12. 간접금융/직접금융 (1) | 2022.09.23 |